변화하는 세상 속 가치있는 뉴스를 전하는 집합건물 타임즈
오피니언/학술
오피니언/학술집합건물 타임즈의 시선으로 바라본 이야기 입니다.
AI·스마트 산업안전기술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2025년도 AI·스마트 산업안전기술 우수사례 경진대회 포스터[이미지 제공]안전보건공단안전보건공단(이사장 김현중, 이하 “공단”)은 지난 4월 24일(목)부터 오는 5월 14일(수)까지 2025년 AI·스마트 산업안전기술 우수사례 경진대회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2025년 AI·스마트 산업안전기술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요- (신청분야) AI·스마트 산업안전기술 [분야①]현장 적용 우수사례 또는 [분야②]신기술 아이디어- (참가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 (시상규모) 총 10점(대상 2점, 최우수상 3점, 우수상 5점)- (발표대회) 25. 6. 10.(화)- (일정) 접수(4.24~5.14) → 서류 및 현장심사(5월) → 발표(PT)대회(6.10.) → 시상식(7월중)* 세부일정은 사정상 변경될 수 있음AI 스마트 산업안전기술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현장의 스마트한 안전관리 확산을 위해 민간 부분의 AI·스마트 산재예방 우수사례와 혁신적 ,기술적 아이디어를 발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거나 개발은 되었으나 아직 상용화되지 못한 사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우수한 스마트 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한다. 국내 스마트 안전시장은 주로 감시, 모니터링, 관제 등 근로자 위험 행동 모니터링 기술(안전관제)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기업은 재정 여력·기술력을 바탕으로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스마트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중소기업은 소극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선정하고 이를 산업계로 널리 알려 다른 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등 스마트 안전문화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경진대회는 참가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접수된 사례들은 기술성과 실효성에 중점을 두어 전문가를 통해 평가될 예정이다. 경진대회에 참여를 희망하는 경우 공단 홈페이지(www.kosha.or.kr)를 통해 접수가 가능하다. 수상된 우수사례는 고용노동부 장관상 및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상을 수여함과 더불어 안전보건공단 재정지원사업 품목 지정여부를 우선 검토할 계획이며희망할 경우 7月에 열리는 「산업안전보건의 달」행사에 홍보부스를 무상지원 받을 수 있다. 공단 김현중 이사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AI와 스마트 기술이 산업안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널리 알리고, 혁신적인 기술이 산업현장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5-08
제14회 아시아건축교류국제심포지엄(ISAIA 2024) 개최 안내
제14회 아시아건축교류국제심포지엄(ISAIA 2024) 개최 안내ISAIA는 대한건축학회(AIK), 중국건축학회(ASC), 일본건축학회(AIJ) 3단체가 격년마다 공동 주최하는 국제심포지엄으로, 2024년에는 일본건축학회(AIJ)의 주관으로 행사가 개최됩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개최일시 : 2024년 9월 10일(화)~12일(목) ○ 개최장소 : 일본 교토 (세부장소 추후 공지 예정)○ 행사주최 : 일본건축학회(AIJ), 대한건축학회(AIK), 중국건축학회(ASC)○ 행사주관 : 일본건축학회(AIJ)○ 행사주제 : “Architect-ing What?” - Rethinking the Foundations of Human Existence -○ ISAIA 2024 홈페이지 : https://isaia2024.aij.or.jp/○ 프로그램 - 9/10(화) 오후:Registration / 저녁:Welcome Party - 9/11(수) 아침 : Opening Ceremony, Keynote Sessions / 오후:Academic Sessions, Theme Sessions - 9/12(목) 종일 : Academic Sessions, Theme Sessions / 저녁:Farewell Party○ 등록비 일반 40,000엔, 학생 20,000엔등록비에는 제14회 ISAIA 프리시딩, Welcome Party, 점심식사(9/11, 9/12), Farewell Party가 포함됩니다. *논문접수 일정이 상황에 따라 상시 변경될 수 있어, ISAIA 2024 홈페이지의 Call for Papers를 꼭 재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TOPICS(A)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B) Architectural History and Theory/Architectural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C) Sustainable Environmental Design and Technology(D) Urban Planning and Community Design in Diverse Contexts(E) Design and Technology of Building StructuresABSTRACT SUBMISSIONAuthors are requested to submit their abstract(s) (maximum 300 words, 1 page in A4) to the symposium secretariatthrough the website. Website for abstract submission 초록제출 : https://isaia2024.confit.atlas.jp/login All abstracts will be reviewed and selected by the Scientific Committee of the 14th ISAIA.SUBMISSION OF FULL-PAPERSSuccessful authors will be requested to submit full-papers as follows. Full-papers should be submitted as electronicfiles in PDF via the website. The format and length of the full paper will be notified in the website.NOTEAll papers and presentations are in EnglishOral presentations are limited to one presentation per person.IMPORTANT DATESSubmission of Abstract : 29nd February, 2024 3월 7일(목요일)까지 / Website for abstract submission: https://isaia2024.confit.atlas.jp/login Submission of Full-Papers : 10th June, 2024 6월 30일(일요일)까지 / https://isaia2024.confit.atlas.jpNotification of Final Acceptance : 2th July, 2024All those who have submitted their abstracts have already been notified of acceptance or rejection by email. (Date of notification: 16 May 2024)Submission of full papers has started. (Start date: 21 May 2024)Please log into the site via the following URL and submit your full paper.https://isaia2024.confit.atlas.jp*Full paper Submission Deadline is June 30 (Sun.), 2024 (11:59pm, JST).You will not be able to submit, edit your registered information your presentation after the submission deadline.Topics and Keywords(A)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Keywords: Aging Society, Inclusive Design, Design for Post Crisis, Local Design, Computational Design,BIM/Robot/Advanced Construction Method, Project Management, Building Management, Architectural Materiality,Design Method/Workshop/Education, Facility Planning (Schools, Hospitals, residences, etc.) etc.(B) Architectural History and Theory/Architectural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Keywords: Historic Building, Historic Zone, Historic Territory, Historic Landscape, World Heritage, VernacularArchitecture, Conservation Method and technique, Alternative technology, Architectural Regeneration, TraditionalHousing/Villages, Theory of Architecture, Works of Architect etc.(C) Sustainable Environmental Design and TechnologyKeywords: Area Management, Design for a Shrinking Society, Environmental Technology, Green Buildings, PassiveTechniques, Smart Cities & Architecture, Urban Landscape, Zero Energy Houses/Buildings etc.(D) Urban Planning and Community Design in Diverse ContextsKeywords: Compact City, Design Survey, Livable Communities, Living Environment, Participation and Education,Public Space and Buildings, Sustainable Communities, Urban Design and Guidelines, Urban Fabric, Urban History,Urban Regeneration etc.(E) Design and Technology of Building StructuresKeywords: Structural Design, Structural Analysis, Structural Experiment, Structural Intervention, SeismicAssessment and Retrofit, Non-engineered Structures, Historical Structures, Construction Management, etc.*문의 : 일본건축학회 제14회 ISAIA 사무국 aij.isaia2024@aij.or.jp / 학술연구실 박인자 팀장 02-525-1844, pij@aik.or.kr
2024-06-10
2024 춘계 승강기 학술대회 개최 안내
2024 춘계 승강기 학술대회가 아래와 같이 개최되오니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와논문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 개최일시: 2024. 06. 21(금). 13:00~18:00 - 개최장소: 서울(구체적인 장소는 추후 통지 예정) - 참석대상: 한국승강기학회 회원 및 승강기 관계자 등 - 논문제출 기한: 1) 초록: 2024년 05월 10일 2) 논문: 2024년 06월 07일 - 논문제출처: 한국승강기학회 메일(kosel01@hanmail.net)/문의 010-5212-1202 - 논문내용: 승강기 기술, 산업, 안전, 관리, 제도 등 - 붙임자료:1. 초록작성 요령 1부2. 논문작성 요령 1부 3. 논문작성 템플릿 1부
주택임대차와 존속보장 -독일법을 참조로-
http://ziptimes.kr/upload/file/volisse240610.pdf 학술지명집합건물법학제목(원어)주택임대차와 존속보장 -독일법을 참조로-제목(영어)Right to Housing in Housing Lease - With reference to German law -키워드(원어)주택임차인의 주거권 보장, 계약갱신청구권, 계약갱신거절 사유, 주택임대차보호법, 임차인의 곤궁의 항변권키워드(영어)Guarantee of housing rights for tenants, Right to Renewal Lease, Reasons for refuse to renewal leas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right of defense of poverty저자이종덕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국내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선 지 이미 10년 이상 경과하였으나, 주택의 자가 점유율(21년 기준)은 여전히 57.3%에 머물고 있다. 주택 임대차시장은 수급 불균형으로 인하여 전세가격 상승은 물론, 전월세 전환 추세와 맞물리면서 주택임차인의 주거불안과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주택임대인의 과도한 전세금 인상 요구와 치솟는 주거비 부담으로 주택임차인은 법이 보장한 존속기간을 주기로 쫓겨나듯이 생활의 터전을 이전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주택임대차의 현실은 임차인의 주거 안정성을 크게 훼손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행복과 통합을 저해하며,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국가적·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이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여러 선진국들은 1960-70년대부터 임대차의 존속기간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고, 임차인들의 권리를 폭넓게 보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주택임대차의 최단기간을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는 방법이나 계약갱신청구권의 행사 횟수를 추가하여 존속보장의 기간을 6년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을 보장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의 입법례들에서는 주택임대차의 경우에는 오히려 횟수나 기간의 제한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주택임대차의 안정적인 주거권 보장을 위해서는 존속기간 자체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 주택임대차의 상황이나 법제도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계약갱신청구권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횟수나 기간의 제한 없이 인정하는 방법이 현실적일 것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외국의 입법 및 판례들에 대한 심층적인 비교연구를 통해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임대인의 갱신거절사유에 대한 법이론과 판례를 발전시켜 법적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또한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 임차주택의 양수인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 1문의 기간 내에서는 실제 거주를 이유로 계약갱신거절을 할 수 있도록 판시함으로써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이 무력화될 수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궁박한 처지에 있는 임차인들의 주거권 확보를 위해서 독일 민법 제574조에서 규정한 곤궁의 항변권의 도입도 신중하게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종전 임차인과 합의에 의해 또는 새로운 임차인과 체결되는 임대차계약에 대해서도 종전의 임대차계약에 따른 차임 등을 기준으로 증액상한율을 적용함으로써 임차인 변경을 통해서 임대인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회를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무주택자들의 주거안정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1
많이 본 오피니언/학술 뉴스
학회/학술 소식
칼럼
[산업안전보건 기획①] 여름철 작업장 안전관리는 이렇게!
공지사항MORE +
뉴스
문화타임즈
커뮤니티
집합건물소식
타임즈소개
주소 : 인천시 미추홀구 한나루로 573 삼우빌딩 3층
발행·편집인 : 황영수
등록번호 : 인천, 아01786
등록일자 : 2024. 03. 04
대표번호 : 032-861-1123
ⓒziptimes.kr. All Light Reserved.